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SE
- T1강조영상
- chemical shift artifact
- K-space
- tof
- T1WI
- T2 이완
- 방사선사나라
- slice gap
- radiographer nara
- 사전포화펄스
- MR angiography
- fractional echo
- fast spin echo
- aliasing artifact
- 자기공명혈관조영술
- saturation pulse
- TR TE
- T2강조영상
- MRI 영상변수
- saturation band
- MRA
- MRI gantry
- T2WI
- no phase wrap
- receive bandwidth
- 동위상 탈위상
- ECG gating
- wrap around artifact
- MRI image parameters
- Today
- Total
방사선사나라 Radiographer Nara
(한/영) [MRI] image contrast parameter - MRI 조직대조도 영향인자 본문
(영어/영문/English)
The parameter that influence the image contrast of the organization
1. spin density
2. T1 relaxation time
3. T2 relaxation tim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MR signal is the spin density. Strictly speaking, it is most important how the hydrogen atoms are bound in the molecule, not the existence of the spin.
However, since the Z-axis component of the net magnetization vector is not detected, and only the XY-axis component can be detecte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relaxation time is the main parameter that determines the image contrast of the tissue in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by radiographer nara
(국어/국문/Korean)
조직의 대조도를 좌우하는 주요 변수
1. 수소 원자핵 밀도
2. T1 이완 시간
3. T2 이완 시간
MR 신호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기본적인 요소는 수소원자핵밀도이며 엄밀히 말해 수소원자핵의 존재 여부가 아니라 수소원자가 분자 내에서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가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순자기화 벡터의 Z축 성분은 검출되지 않으며 XY축 성분만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결국 자기공명영상에서 조직의 대조도를 좌우하는 주요 변수는 이완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
- 방사선사나라
'자기공명영상 (MR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한) [MRI] T1 relaxation time - 종축이완시간 (0) | 2020.03.28 |
---|---|
(영/한) [MRI] What is the relaxation? - 이완이란? (0) | 2020.03.26 |
(영/한) [MRI] What is the Net magnetization? - 순자화란? (0) | 2020.03.24 |
(영/한) How do we actually perform MR imaging? - MRI사진 얻는 법 (0) | 2020.03.16 |
(영/한) What is the MRI?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자기공명영상학이란? (장점 및 단점) (0) | 202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