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liasing artifact
- 동위상 탈위상
- fast spin echo
- MR angiography
- 방사선사나라
- no phase wrap
- slice gap
- MRI gantry
- FSE
- T1WI
- ECG gating
- tof
- MRA
- T2 이완
- wrap around artifact
- T2WI
- receive bandwidth
- T1강조영상
- MRI 영상변수
- fractional echo
- MRI image parameters
- saturation band
- saturation pulse
- chemical shift artifact
- 자기공명혈관조영술
- K-space
- 사전포화펄스
- radiographer nara
- TR TE
- T2강조영상
- Today
- Total
방사선사나라 Radiographer Nara
[MRI] (영/한) TOF (Time-Of-Flight) / 시간흐름효과(티오에프) 기법 본문
(English)
TOF (Time Of Flight)?
It is commonly used in blood flow compensation gradient echo images by using the flow related signal enhancement effect.
Basically, spin is readou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selected as a single RF. If the position of the spin is changed between these time intervals, TOF effect appears and the blood flow is seen as a high signal intensity by the RF pulse.
It can be applied to both 2D and 3D imaging techniques and we usually use images reconstructed with MIP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It is most often used when looking at the arteries of the brain.
by raiographer nara
(한국어)
시간흐름효과?
유속신호강조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혈류보상 그라디언트 에코 영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스핀은 한번의 고주파로 선택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검출되는데, 이 시간 간격 사이에 스핀의 위치가 변해 있으면 시간흐름효과가 나타나며 고주파펄스에 의해 혈류가 고신호강도로 보인다.
2D와 3D 영상기법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보통 최대강도투영법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많이 이용한다.
주로 머리의 동맥을 볼 때 가장 많이 이용된다.
- 방사선사나라
'자기공명영상 (MR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 (영/한) 3D TOF MRA / 3D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 (0) | 2020.05.22 |
---|---|
[MRI] (영/한) 2D TOF MRA / 2차원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 (0) | 2020.05.21 |
[MRI] (영/한) MR Angiography /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 (0) | 2020.05.19 |
[MRI] (영/한) Bright Blood (BB) / MR 영상에서 혈관이 밝게 보이는 경우 (0) | 2020.05.18 |
[MRI] (영/한) Black Blood (BB) / MR 영상에서 혈관을 어둡게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