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of
- receive bandwidth
- MRI image parameters
- T1강조영상
- MR angiography
- MRI 영상변수
- saturation pulse
- T2 이완
- 사전포화펄스
- K-space
- 동위상 탈위상
- T2WI
- slice gap
- TR TE
- fractional echo
- 자기공명혈관조영술
- chemical shift artifact
- T2강조영상
- T1WI
- wrap around artifact
- 방사선사나라
- fast spin echo
- MRI gantry
- MRA
- saturation band
- ECG gating
- no phase wrap
- radiographer nara
- aliasing artifact
- FSE
- Today
- Total
방사선사나라 Radiographer Nara
[MRI] (영/한) Bright Blood (BB) / MR 영상에서 혈관이 밝게 보이는 경우 본문
(English)
Why blood vessels look bright on MR images
1. Entry slice phenomenon
In the multi-slice imaging method, entry slice phenomenon occurs when unsaturation spins in blood first enter into slices. It is characterized by the bright signal in a blood vessel (artery or vein) at the first slice that the vessel enters.
2. Even-echo signal rephasing
The dephased spin is rephased to produce a high MR signal. For making the phase become 0, the signal whice made by even-numbered 180º RF waveform is Even-echo signal rephasing.
In the image obtained by the odd-echo signal, the blood vessels appear dark, but in the image obtained by the even-echo signal, the blood vessels appear bright because of the even-echo signal rephasing phenomenon.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dephasing of spins having a constant speed, to obtain a bright blood vessel image, or to reduce the image quality degradation due to the flow rate.
3. Gradient Motion Rephasing
Applying pre-symmetry at the two gradient magnetic field endpoints causes the phase of the spin to be zero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moving spin. The phase disturbed by the moving spin can also be collected by an gradient, thereby increasing the flow-rate signal.
by radiographer nara
(한국어)
MR영상에서 혈관이 밝게 보이는 이유
1. 혈류 유입 단면신호 증가 효과
다단면 선택 영상법에서 유속 신호의 증가가 유체가 유입되는 첫 단면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속도에 따라 유체가 유입되는 쪽의 단면에서부터 유속 신호 증가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2. 짝수 반향 신호 위상 모임
탈위상된 상태의 스핀을 재위상시켜 높은 MR신호를 나오게 하는데, 이때 위상이 0이 되게 짝수번째 180ºRF 파형에 의한 방향 신호를 짝수반향신호라고 한다.
홀수반향신호로 얻은 영상에서는 혈관이 어둡게 나오지만 짝수반향신호로 얻은 영상에서는 혈관이 밝게 나오는 경우는 짝수반향신호 위상모임현상 때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를 지닌 스핀들의 위상 흩어짐 효과를 줄일 수 있고 밝은 혈관 영상을 얻거나 유속에 의한 영상 질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경사자계에 의한 움직이는 스핀 신호의 위상 보상
두 경사자계 끝점에서 선대칭 되도록 가하면 움직이는 스핀의 속도에 관계없이 스핀의 위상이 0이 된다. 경사자계에 의해서도 움직이는 스핀에 의해 흐트러진 위상을 모을 수가 있어 유속 신호의 증가 효과가 나타난다.
- 방사선사나라
'자기공명영상 (MR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 (영/한) TOF (Time-Of-Flight) / 시간흐름효과(티오에프) 기법 (0) | 2020.05.20 |
---|---|
[MRI] (영/한) MR Angiography /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 (0) | 2020.05.19 |
[MRI] (영/한) Black Blood (BB) / MR 영상에서 혈관을 어둡게 (0) | 2020.05.15 |
[MRI] (영/한) Nyquist ghost artifact on EPI / 이피아이 기법에서 나이키스트 유령 인공물 (0) | 2020.05.13 |
[MRI] (영/한) Cross talk and Cross excitation artifact / 크로스토크, 크로스여기 인공물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