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2 이완
- T2WI
- MRI gantry
- fractional echo
- receive bandwidth
- 동위상 탈위상
- wrap around artifact
- 자기공명혈관조영술
- 방사선사나라
- MRI image parameters
- T1WI
- FSE
- radiographer nara
- MRI 영상변수
- fast spin echo
- ECG gating
- 사전포화펄스
- slice gap
- K-space
- tof
- MRA
- no phase wrap
- T1강조영상
- saturation band
- chemical shift artifact
- aliasing artifact
- TR TE
- T2강조영상
- saturation pulse
- MR angiography
- Today
- Total
방사선사나라 Radiographer Nara
[MRI] (영/한)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 / 자화 감수성 인공물 본문
(영어/영문/English)
Magnetic Suscepribility artifact?
Susceptibility of tissue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n tissue can magnetize quickly. At the interface between two tissues with different magnetic susceptibility, the local magnetic field is distorted due to the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s appear mainly in a distorted shape, and there are errors in the position of the image.
The mechanism of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 in the human body is mainly due to the iron content of metals and hematomas.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s appear more severely as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crease and they appear more in the gradient echo technique than in the spin echo technique.
The reason is that the 180º refocusing pulse of the spin echo technique compensates for the phase change due to the difference in magnetization rate.
Prevention
The metal material in the patient's body is removed as much as possible before the scan, and the spin echo technique (SE) is used rather than the gradient echo technique (GE).
(FSE<SE<GE<EPI : the more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s appear)
Shorten TE to reduce dephasing, or use 3D GE rather than 2D GE.
by radiographer nara
(국어/국문/Korean)
자화 감수성 인공물?
조직의 자화율이란 조직이 얼마나 빨리 자화될 수 있는지의 정도를 말한다. 조직의 자화율이 다른 두 조직간의 경계면에서는 자화율의 차이로 인하여 국소자장에 왜곡이 나타난다.
자화 감수성 인공물은 주로 찌그러진 모양으로 나오게 되며 영상의 위치에도 오차가 생긴다.
인체에서의 작용기전은 금속과 혈종의 철 성분이 주요 원인이다.
자화 감수성 인공물은 자장의 강도가 높을수록, 스핀 에코 기법보다 그라디언트 에코 기법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스핀에코 기법은 180º 재초점화 펄스가 자화율의 차이로 인한 위상변화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대책
검사 전에 환자의 몸에 있는 금속물질을 최대한 제거하며, 그라디언트 에코 기법보다는 스핀에코 기법을 이용한다.
(고속 스핀에코 기법<스핀에코 기법<그라디언트에코 기법<이피아이 : 오른쪽으로 갈 수록 자화율 차이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아 자화 감수성 인공물이 더 크게 나타난다.)
TE를 짧게 해서 탈위상을 감소 시키거나, 2D 그라디언트에코 기법 보다는 3D 그라디언트에코 기법을 사용한다.
- 방사선사나라
'자기공명영상 (MR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 (영/한) Cross talk and Cross excitation artifact / 크로스토크, 크로스여기 인공물 (0) | 2020.05.12 |
---|---|
[MRI] (영/한) Zipper artifact / 지퍼 인공물 (0) | 2020.05.11 |
[MRI] (영/한) chemical shift artifact/ 화학적 이동 인공물 (1) | 2020.05.09 |
[MRI] (영/한) Wrap around (aliasing) artifact / 엘리어싱 인공물 (0) | 2020.05.07 |
[MRI] (영/한) Phase mismapping artifact / 위상의 미스맵핑 인공물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