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CG gating
- T1WI
- MRI 영상변수
- fast spin echo
- 방사선사나라
- 동위상 탈위상
- MRI image parameters
- MR angiography
- wrap around artifact
- T2 이완
- aliasing artifact
- T2WI
- tof
- T1강조영상
- slice gap
- chemical shift artifact
- receive bandwidth
- no phase wrap
- T2강조영상
- TR TE
- FSE
- 사전포화펄스
- saturation band
- 자기공명혈관조영술
- MRI gantry
- fractional echo
- MRA
- saturation pulse
- radiographer nara
- K-space
- Today
- Total
방사선사나라 Radiographer Nara
[MRI] (영/한) Wrap around (aliasing) artifact / 엘리어싱 인공물 본문
(영어/영문/English)
Wrap around artifact?
Anatomical structures outside the FOV appear inside the FOV, also called aliasing or fold over artifacts.
These artifacts are generated when a FOV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ubject is selected and appear in either the frequency direction or the phase direction. (Also occurs in 3-D images)
1. Frequency wrap
It occurs when the generated echo is under sampling in the frequency direction.
→ In general, it is not a problem because of using the over sampling technique. (no frequency wrap)
2. Phase wrap
It occurs when data is under sampling in the phase direction.
→ After using the over sampling technique, over data discard when image is recontructed. (no phase wrap or anti-aliasing) Or use a larger field of view than the anatomical structure. Alternatively, the anatomy of the shorter side can be set to phase encoding or a pre-saturation pulse can be used outside the FOV.
3. Slice wrap
In the 3D sequence, anatomical structures outside the slice in slice direction appear in the FOV.
→ As there is no option to prevent, it is important to properly adjust the range of slice.
by radiographer nara
(국문/국어/Korean)
Wrap around artifact?
FOV 바깥쪽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FOV 안쪽으로 나타난 것으로, aliasing 혹은 fold over 인공물이라고도 한다.
이런 인공물은 피사체의 크기보다 더 작은 FOV를 선택했을 때 발생되며 주파수 방향이나 위상 방향 어느쪽에도 나타나게 된다. (3-D 영상에서도 발생)
1. 주파수 wrap
발생된 에코를 주파수 방향으로 저 수집하였을 때 발생한다.
→ 일반적으로 과 수집기법을 쓰고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2. 위상 wrap
위상 방향으로 저 수집하였을 때 발생한다.
→ 과 수집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재구성 시에 삭제하거나 해부학 구조 보다 큰 FOV를 사용한다. 혹은 길이가 짧은 쪽의 해부학 구조물을 위상부호화로 설정하거나 FOV를 벗어난 곳에 사전 포화펄스를 사용하면 된다.
3. 단면 wrap
3D 시퀀스에서 절편 방향으로 절편범위 바깥쪽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FOV 내에 나타난다.
→ 방지할 수 있는 옵션이 없어서 절편범위를 적절히 조절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 방사선사나라
'자기공명영상 (MR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 (영/한)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 / 자화 감수성 인공물 (0) | 2020.05.10 |
---|---|
[MRI] (영/한) chemical shift artifact/ 화학적 이동 인공물 (1) | 2020.05.09 |
[MRI] (영/한) Phase mismapping artifact / 위상의 미스맵핑 인공물 (0) | 2020.05.06 |
[MRI] (영/한) SENSE (Sensitivity - Encoded) / 센스기법 (0) | 2020.05.02 |
[MRI] (영/한) POMP (Phase Offset Multi Planar) / 두 단면을 동시에 공명 (0) | 2020.04.30 |